Chapter 24. APPLICATION LAYER
마지막 컴네 posting.
😋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FTP의 특징은 ‘연결‘.
연결 포트와, 데이터 주고받는 포트가 따로 있음
- 21번이 제어 연결(연결 유지)을 위한 포트
- 20번이 데이터 연결(데이터 송수신 시마다 열리고 닫힘)을 위한 포트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본 포트번호
- 25번
◆ 메일 시스템의 동작
<메일 시스템 구성 요소>
- UA (User Agent)
gmail 따위의 이메일 클라이언트 - MTA (Message Transfer Agent)
메일 중계 및 전달 - MAA (Message Access Agent)
메일 접근용 프로토콜
<메일 시스템 동작 과정> ←중요!!
① 송신자의 UA에서 이메일을 작성하고 전송 버튼 누름
② 송신자의 MTA 클라이언트는 SMTP 프로토콜을 이용해 MTA서버에 메일을 push함
③ 송신자 메일 서버의 MTA 서버는 메일 서버의 Spool(일종의 버퍼. 한꺼번에 전송 가능)에 넣어둠
④ 송신자 메일 서버의 MTA 클라이언트는 Spool에서 메일들을 가져옴
⑤ 송신자 메일 서버의 MTA 클라이언트는 수신자의 IP 주소를 DNS 서버에 요청해 가져오고, SMTP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자 메일 서버로 전송
⑥ 수신자 메일 서버의 MTA 서버는 수신자 메일 박스에 메일을 넣어둠
⑦ 수신자 메일 서버의 MAA 서버는 메일 박스에서 메일을 탐색해 읽어옴
⑧ 수신자의 MAA 클라이언트는 POP또는 IMAP 프로토콜을 통해 MAA서버로부터 로컬 컴퓨터로 메일을 pull해 옮겨옴
⑨ 수신자의 UA에서 이메일을 받음 (수신자 UA가 요청하면 ⑦번 과정 시작)
<메일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 메일 전송(MTA) - SMTP 프로토콜
- 메일 접근(MAA) - POP 프로토콜 또는 IMAP 프로토콜
◆ DNS (Domain Name System)
: IP 주소 ↔ Domain 이름을 맵핑해주는 시스템
IP 주소는 컴퓨터는 외우기 쉽겠지만 인간은 외우기 어렵고 불편함.
파일이나 메일등을 보낼 때 도메인 이름을 주면, DNS 서버에 요청하여 IP 주소를 받아와서 통신하는 방식으로 작동.
◆ Domain Name Space (도메인 이름 공간)
계층적으로 도메인 이름을 제공함.
khu.ac.kr에서 kr이 korea, 즉 우리나라 서버 주소인 것임.
◆많이 사용되는 기본 포트 번호
- SSH : 22번
- SMTP : 25번
- FTP : 21번, 20번 (21번 - 제어 연결, 20번 - 데이터 연결)
- HTTP : 80번
- DNS : 53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