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로그

Chapter 6. MULTIPLEXING AND SPREADING 본문

CS/컴퓨터 네트워크

Chapter 6. MULTIPLEXING AND SPREADING

seeyoun 2022. 10. 29. 23:57

◆ Multiplexing 이란?

회선을 여럿이서 공유하는 것

-> 효율 굿!!

 

  • MUX : Multiplexer
  • DEMUX : Demultiplexer

 

3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1. 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2. 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3. TDM (Time Division Multiplexing)

 

FDM, WDM은 아날로그에서. TDM은 디지털에서 구현!

 


■ FDM (주파수 분할 다중화)
: 전화기, 라디오

주파수를 다르게 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

 

 

주파수 채널을 다르게 할당 -> 각각 채널에 맞는 반송 주파수로 변조(그림에선 AM)해서 동시에 내보냄!!

 

 

받는 사람은 필요한 주파수 값만 받아내면 원래 신호 복원해낼 수 있음!!

 

 

ㆍGuard band (보호대역)

: 신호가 겹치지 않기 위해 사이사이 비워두는 대역폭

 

 

아래와 같이 계층구조(작은 대역폭~큰 대역폭으로 점점 합치는 방식)로 쓰기도 함.(feat. 전화국)


■ WDM (파장 분할 다중화)

파장을 다르게 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

프리즘으로 파장을 변조해서 동시에 전송!!

잘 안씀. Pass


■ TDM (시분할 다중화)

시간을 세밀하게 쪼개서 동시에 전송하는 것

 

   2가지 방식이 있음.

  • Synchronous TDM (동기식 TDM)
  • Statistical TDM (통계적 TDM)

 


- Synchronous TDM

한 프레임 안에 순서대로 각 채널의 정보가 다 들어감.

프레임 구조: 프레임 [ (타임슬롯) (타임슬롯) (타임슬롯) ]  

└ N 개의 입력 -> 프레임당 N 개의 타임슬롯(=시간틈새)

-> 그러나 자리가 예약되어있기 때문에 Interleaving이 생길 수 있음!! => 효율 저하

 

Interleaving : 데이터가 없거나 안 들어오면 생기는 비어있는 슬롯(Empty slot)

 

 

싱크를 맞춰주는 bit들 존재 - 스위치가 장치들을 일정한 비율로 정해진 순서대로 이동한다.

프레임 구성비트는 타이밍의 일관성을 확보하지 못하기 때문에 하나의 비트를 프레임 앞에 0과 1을 번갈아 가며 추가한다.

 

 

※ 각각 채널별로 Data Rate가 다를 때, 다음의 3가지 방법을 사용.

1) Multi-level multiplexng

: 합치기

 

2) Multi-Slot Allocation

: 쪼개기

 

 

3) Pulse Stuffing

: 불필요한 비트 추가

 


- Statistical TDM

슬롯이 동적으로 할당됨(비어있는 슬롯 없앰).

(타임슬롯은 {데이터|목적지 주소}로 구성됨)

-> 효율성 굿~

 


◆ DS service(Digital Signal service)

TDM을 계층 구조로 구현한 것

아날로그 서비스보다 덜 예민하다.

비교적 비용 저렴!!


◆ Spread Spectrum (SS)이란?

내가 가진 신호를 더 큰 대역으로 확장해서 정보를 보안하는 방식.

 

두 가지 방식이 있다.

1. FHSS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2. DSSS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Synchronous)


- FHSS

신호서로 다른 주파수의 반송파중에서 한번에 하나의 반송파로 변조함. (여러 주파수로 건너뛰어다니면서 순서 정해서 주파수 변조)

=> 도청을 해도, 주파수 순서를 모르기 때문에 무슨 정보인지 알 수 없다!!

=> 어느 한 주파수만 쓰는 게 아니기 때문에, 방해 전파에도 강함!!

 

대역폭 B_FHSS >= B

 

 

대역폭 공유(feat. FHSS)

a에서는 고정된 대역을 할당 받고,

b에서는 매번 뛸 때마다 다른 영역을 사용한다.


- DSSS

각 데이터 비트를 Spreading code(확산 코드)를 사용해 대체

=> 도청을 해도 코드를 모르면 무슨 정보인지 알 수 없음!!

=> 각 기지국이 서로 다른 코드를 사용하면 서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통신할 수 있음.

'CS > 컴퓨터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8. SWITCHING  (2) 2022.10.30
Chapter 7. TRANSMISSION MEDIAS  (0) 2022.10.30
Chapter 5. ANALOG TRANSMISSION  (0) 2022.10.29
Chapter 4. DIGITAL TRANSMISSION  (0) 2022.10.29
Chapter 3. DATA AND SIGNALS  (0) 2022.09.2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