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CS (59)
센로그

◆ Chapter 4와 Chapter 5의 핵심 이미지!! ◆ Carrier Signal (반송파) D/A에서 A신호로 바꿀 때, 우리는 "Carrier Signal(반송파)" 라는 기본파(아마 정현파) 사용함 디지털에서 레벨을 달리했던 것처럼, 반송파의 특징을 변조해서 각 신호를 다르게 표현함. ◆ 모뎀 (MOdulator and DEModulator) Modulation : D -> A 변조 Demodulation : A -> D 복조 ◆ Constellation Diagram (성운도) 하나의 신호에서 amplitude와 phase를 같이 나타낸 것. (극좌표) Angle : Phase 를 표현 Length : Amplitude 를 표현 주로 QAM 방식 (밑에 나옴) 표현하는 데 많이 사용!! ◆..

◆ Chapter 4와 Chapter 5의 핵심 이미지!! 헷갈리는 부분. Bandwidth의 최솟값은 S_ave와 같다. (최소 그정도의 신호율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내가 이해한 바에 따르면, S는 level로 구분하는 신호요소이고 S_ave는 신호가 한 번 역전되는 걸 나타내는 거 같다. ◆ Data element vs Signal element 데이터 요소 : 실제 데이터(bit) 신호 요소 : 신호. 데이터를 넣어 보내는 캐리어 느낌 r = Data element 개수 / Signal element 개수 즉, 한 신호당 몇 bit를 전송할 수 있는가? 를 의미함. r이 클수록 통신의 효율성이 높음을 의미!! ◆ Data rate vs Signal rate Data rate ..

◆ 데이터 요소와 신호 요소 아날로그 데이터 : 연속적인 정보. like 음성 디지털 데이터 : 이산값을 가지는 정보. like 0, 1의 형태로 저장되는 데이터 아날로그 신호 : 부드럽게 변하는 연속적인 파형 디지털 신호 : 갑작스럽게 변하며, 이산적이며 제한된 수의 정의된 값만 가짐 ◆ 아날로그 신호의 분류 Periodic signals(주기적) Simple signal 정현파(sine wave) Composite signal(복합 신호) 정현파들의 집합. 각각으로 분리 가능 - 주로 기본 주파수(젤 작은 애)의 홀수배 주파수 정현파들의 집합 Aperiodic signals(비주기적) 반복되는 패턴이나 사이클 없이 변화함 - 데이터 통신에서는 주로 주기적 아날로그 신호 사용 ◆ 주기적 아날로그 신호의..

◆ 네트워크 계층화 : 통신 과정에서 일어나는 모든 것들을 Layer 별로 나눠서 설명하는 것 - 역할에 따라 Layer 구분 ◆ 네트워크 계층화의 의의 - 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드리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음. - 프로토콜 계층화 가능(서비스들을 구현으로부터 분리. 중간 시스템들을 종단시스템 만큼 복잡하게 만들 필요 없어짐) ◆ Peer-to-Peer Process : 같은 계층 레이어 끼리는 서로 대응되는 역할을 수행함 ◆ Encapsulation & Decapsulation - Encapsulation(캡슐화) : 계층별로 자신의 헤더를 붙이면서 내려오는 것 - Decapsulation(역캡슐화) : 캡슐화랑 반대 작업 ◆ TCP/I..

◆ Data Communication 이란?디바이스 간 정보(Data)를 공유하는 것 ◆ 어떤 통신이 효율적인 통신인가?정확한 데이터(Accuracy)를 올바른 목적지(Delivery)에 시간 내(Timeliness)에 전달하는 통신 ◆ Data Communication System의 구성요소(5가지)Message 메시지Sender 송신자Receiver 수신자Medium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매체Protocol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모든 규칙. Protocol에 의해 이 모든 게 움직인다!! ◆ 데이터의 흐름에 따른 통신 분류(3가지) 방향성동시성예시Simplex일방향-모니터, 키보드 등Half-Duplex양방향불가능무전기 등Full-Duplex양방향가능전화 등 ◆ 네트워크란?서로 연결된 장치들의 집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