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4)
센로그

◆ 프로젝트 개발 동기 기존에 자신의 포트폴리오를 보여줄 수 있는 플랫폼은 굉장히 한정적이었습니다. 웹사이트, 블로그, 유튜브 동영상 등 분명 내가 만든 프로젝트의 내용을 담고 있긴 하지만 영상을 보는 동시에 글을 읽을 수는 없었고, 여러 프로젝트들이 나열되어 있을 때 해당 포트폴리오를 통해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지 한 눈에 알기 어려웠습니다. 대학생의 입장으로 어떤 플랫폼을 이용해야 다른 포트폴리오와 비교했을 때 차별점을 둘 수 있을지 고민하였고, 원하는 플랫폼을 직접 개발하기로 하였습니다. 우리들의 열정을 담은 포트폴리오를 한 공간에 펼쳐 놓고 누구든 원하는 곳을 쉽게 구경할 수 있는 메타버스를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 프로젝트의 목적 대학생들이 자신의 열정을 담은 포트폴리오를 시각화를 넘어 공간화 ..

◆ 프로젝트 개발 동기 지금까지의 카드게임은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상에서 카드 자체만을 가지고 대전을 펼쳤기에 시각적으로 지루한 감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화면 안에서 카드의 값만 가지고 게임하는 것이 아니라, AR 기술을 활용해 카드가 담고있는 정보 이상의 숨겨진 이벤트를 구현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하였습니다. ◆ 프로젝트의 목적 2022 경희대학교 가을 대동제에서 게임 부스를 운영하기 위해 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대부분의 게임은 피지컬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진입장벽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축제는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는 만큼, 누구나 쉽게 진입하고 즐길 수 있는 간단한 룰과 재미있는 시각효과를 가진 게임을 만들고 싶었습..

◆ 프로젝트 개발 동기 실험쥐 ‘모르모트'에서 착안하여, 실험쥐를 모티브로 하는 귀여운 그래픽의 게임을 제작하고자 했습니다. 실험 과정 속 ‘실험군‘과 ‘대조군'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홀로 ‘대조군'으로 남아있던 쥐가 실험 결과 괴물이 되어버린 ‘실험군'쥐들과 싸워 탈출하는 게임을 만들고 싶었습니다. ◆ 프로젝트의 목적 1.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캐쥬얼하고 재미있는 게임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2. "우리가 너를 가뒀다"는 문구와 화면속에서 웃고있는 개발자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엔딩을 통해, 결국 '대조군' 쥐의 적은 '실험군'이었던 다른 괴물쥐들이 아니라, 그들을 가두어놓고 실험한 '인간'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실험 동물들의 생명 윤리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우고자 하였습니다. ◆ 프로젝트 개요 - 게임 제목..

◆ 프로젝트 개발 동기 COVID-19로 인해 학교 수업이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저희 학교에서는, 'e-campus'라는 온라인 수업 플랫폼에 접속해 일일이 과목별로 링크를 타고 참여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합니다. 그러나 수업 자체는 e-campus와 별도로 'zoom' 앱만으로 진행합니다. 여기서 두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문제 1) zoom 링크만에 접근하기 위해 e-campus에 로그인하는 방식이 번거롭고 불편합니다. 문제 2) 링크만 복사해서 한 파일에 넣어놓기에는, 매번 시간표에 따른 링크가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또 매 수업차시마다 zoom 링크를 다르게 쓰시는 교수님의 경우 이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PC 바탕화면 시간표 위..

◆ 프로젝트 개발 동기 COVID19 백신에 대한 관심이 한창 뜨거운 요즘입니다. 동시에 백신의 원리나 우리 몸이 방어작용을 하는 원리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부쩍 많아졌습니다. 우리 몸의 방어작용 과정을 공부하는 방법에 있어서, 텍스트로 공부하면 그저 딱딱하고 와닿지 않습니다. 그러나 게임을 통해 무의식중에 학습된다면 흥미롭게 공부하고 유연하게 기억할 수 있어서 효과적일 것입니다. 따라서 특이적 방어작용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체험하며 기억할 수 있는 게임을 구상하게 되었습니다. ◆ 프로젝트의 목적 1) 특이적 면역 과정을 주제로 한 학습 게임 - 현재 특이적 면역에 대해 공부하고 있는 학생 또는 면역 과정에 호기심을 가진 사람을 위한 게임입니다. - 실제 특이적 면역 과정을 플레이 방식에 적용하고,..

◆ 분기 한정법 (Branch and Bound)Branch: 가지를 나눈다Bound: 한계를 정한다 내가 어느쪽으로 가는 게 더 이득인지 가지를 치는 과정에서 한계를 가지고 판단하겠다 라는 뜻 되추적의 개념 + 최적화 문제에 대한 가장 좋은 해를 찾는 개념이 포함되어있다.기본적으로 해를 찾아가는 방법은 백 트래킹.어떤 해를 선택하느냐는 bound를 사용하며 뭐가 더 이득인지 판단. 되추적에서는 상태 공간 트리를 움직이면서 해를 찾았음. (promising 함수 사용)분기한정법에서도 상태 공간 트리를 순회하긴 하는데, Bound 함수를 통해서 지금까지 찾은 해보다 최대한 더 좋은 해를 찾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최종적으로 가장 좋은 해를 찾아나가는 방법. ◆ 최소화 문제최소 거리의 트래킹 코스를 찾는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