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4)
센로그

◆ Photon PUN2 사용을 위한 세팅 과정 1. PUN2 에셋 임포트 에셋 스토어에서 PUN2 에셋을 다운로드하고, 유니티 프로젝트에 임포트한다. 2. photonengine.com 에서 게임용 앱 ID 설정 포톤 사이트에 가입하고, https://dashboard.photonengine.com/ 에서 CREATE A NEW APP를 누른다. PhotonSDK 종류를 PUN으로 설정하고, 앱 이름과 설명을 적는다. 그러면 이 앱의 APP ID가 생긴다. APP ID를 안다 == 이 APP에 접속할 수 있다 는 의미이므로 아무데나 유출하지 말자. APP ID는 Unity의 PUN Wizard에다 붙여넣어준다. (/Photon/PhotonUnityNetworking/Resources/PhotonServ..

◆ Template 어떤 class가 들어와도 한번에 동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함 template ◆ STL (Standard Template Library) 다양한 컨테이너들을 제공하는 C++ 표준 라이브러리 굉장히 많은 컨테이너들을 제공함 최적화가 잘 되어있음 다양한 플랫폼에서 잘 돌아감 개조하려고 할 때 힘듦. 헤더 파일이 암호화 되어있고 이해하기 어려움 여러 환경에서 잘 돌아가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내 환경에 특화된 것이 아님. generality 를 확보하기 위해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고 복잡하게 만들어짐. 동적 할당 많아서 퍼포먼스적으론 뛰어나지 않음 컴파일러마다 작동이 조금씩 달라서 디버깅할 때 환장함 PC에서 쓰기에는 가상 메모리 있어서 나름 괜찮음. 콘솔에선 좀.. 비추 ◆ Boost ST..

마지막 컴네 posting. 😋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FTP의 특징은 ‘연결‘. 연결 포트와, 데이터 주고받는 포트가 따로 있음 21번이 제어 연결(연결 유지)을 위한 포트 20번이 데이터 연결(데이터 송수신 시마다 열리고 닫힘)을 위한 포트 ◆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이메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 기본 포트번호 25번 ◆ 메일 시스템의 동작 UA (User Agent) gmail 따위의 이메일 클라이언트 MTA (Message Transfer Agent) 메일 중계 및 전달 MAA (Message Access Agent) 메일 접근용 프로토콜 ←중요!! ① 송신자의 UA에서 이..

◆ 강화학습 시행착오로부터 배우는 방식의 기계학습 (게임의 느낌) 보상이 높은 목표로 가까워지거나, 그렇지 않은 목표에서 벗어나려고 함. ◆ 강화학습은 discrete time에서 stochastic하게 agent를 control하는 문제임 ◆ Discrete time 시점 구분이 가능함(프레임 업데이트 시점, 방 넘어가는 시점 등) 어떤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넘어가는 순간이 구분됨 ※ 상태 전이(state transition) :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의사결정 없이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행위 ◆ Stochastic Control 확률적으로 의사 결정 ◆ 행동 확률 vs 상태 전이 확률 ㆍ행동 확률 내가 행동할 확률 오목에서, 내가 흑돌을 놓을 확률 ㆍ상태 전이 확률 (내 행동에 이어) 상태가 바뀔..

C++.에서 배열 사이즈는 보통 이렇게 구한다.int arr[5];int arrSize = sizeof(arr) / sizeof(arr[0]);그런데 new로 만든 배열은 저렇게 해도 제대로된 사이즈가 안 나온다.포인터 사이즈만 나옴 ㅠㅠ 그럼 제대로된 사이즈는 어떻게 구하냐?_msize() 를 사용한다.int *arr = new int[5]; int arrSize = _msize(arr) / sizeof(arr[0]);이렇게 구하면 제대로 나온다. 굿 더보기▽ 슬픔의 흔적자료구조 기말 실습 시험의 흔적 .. 고쳣더니 잘 된다

◆ Process-to-Process Delivery 데이터 링크 계층은 node-to-node (hop-to-hop) 네트워크 계층은 host-to-host 전송 계층은? process-to-process 서버-클라이언트 의 관계를 갖고 있음. (서버-클라이언트 프로세스는 서로 이름 같음!) 클라이언트(로컬 호스트의 프로세스)와 서버(원격 호스트의 프로세스)사이 서비스가 필요함! ◆ Process-to-Process Delivery - Addressing 전송 계층의 주소 체계는 포트(Port) 번호를 사용한다. 포트 번호를 가지고 어느 프로세스로 가야하는지를 식별함! 포트 번호는 ‘0~65535’까지의 숫자로 되어 있으며(16비트로 표현), 범위에 따라 용도가 정해져 있음. 그중 잘 알려진 포트(w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