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4)
센로그

◆ Wireless LANs 저번엔 유선랜(이더넷). 이번엔? 무선랜 (WiFi) 이번에 알아둬야 할 내용은 DCF PCF Hidden Station 문제의 정의와 해결법(RTS, CTS) 이정도라 보면 되겠음. ◆ IEEE 802.11 표준 Wireless LAN(무선 랜)에 대한 "약속"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한) 이 약속(IEEE 802.11 standard)에 대한 두 가지 구조가 존재함. BSS (Basic Service Set ; 기본 서비스 세트) ESS (Extended Service Set ; 확장 서비스 세트) ◆ BSS (Basic Service Set) : 기본 서비스 세트 BSS는 기본적으로 지들끼리 통신하는 것임. AP (Access Point; 무선 공유기)를 사..

◆ 유선 LAN : 이더넷 프로토콜 TCP/IP 프로토콜은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 계층에 대해 어떠한 프로토콜도 제공 안 함. == 데이터링크, 물리 계층의 어떤 프로토콜과도 호환된다는 뜻!! 데이터링크 / 물리 계층은 LAN과 WAN을 사용함. 이더넷 LAN의 4가지 버전 ㆍStandard Ethernet (표준 이더넷; 10Mbps) ㆍFast Ethernet (고속 이더넷; 100Mbps) ㆍGigabit Ethernet (기가비트 이더넷; 1Gbps) ㆍ10 Gigabit Ethernet (10 기가비트 이더넷; 10Gbps) ◆ IEEE 802 표준 : 다양한 제조업자들의 장치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 LAN 프로토콜의 물리 계층, 데이터 계층의 기능을 규격화함. => 데이터링크..

◆ Data Link - Sub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의 두 부계층(sublayer) ㆍDLC(Data Link Control sublayer) 흐름 및 오류를 제어하는 부분 ㆍMAC(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 실제 매체에 접근하는 부분 Chapter 10~11까지 DLC에 대해 언급했고, 이번에 공부할 것은 MAC 부분임. ◆ 다중 접근 프로토콜이란? 공유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 링크에 접근하는 것을 조율하기 위한 다중 접근 프로토콜(Multiple-access protocol)이 필요함. 여러 사람이 회선을 사용(Bus Topology 등)할 때 생기는 문제(방해, 충돌 등)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규정! 1. Random-access proto..

◆ 2계층에서 하는 일들! 1) Framing 쌍방 당사자간 데이터가 어떻게 올 지에 대한 structure가 정해져 있어야한다. =>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Frame” 2) Flow Control & Error Control ㆍFlow Control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속도, 성능등이 다르면 내 컴이 좋다고 남한테 왕창 보내면 안됨 상대방이 수용할 만큼 조정해서 보내야함 == Flow control (흐름제어) (밀당 잘하기~) ㆍError Control 데이터의 재전송을 자동적으로, 반복적으로 요청하는것. == ARQ (Automatic Repeat Request) Error detection(탐지), Error correction(고치기), Error control(다시 보내기) 3) A..

◆ Error 의 분류 ㆍsingle-bit error 한 비트 오류 ㆍburst error 2개 이상의 비트 오류 length of burst error : 틀리기 시작한 부분부터 끝부분까지 길이 - 전선 등의 문제로 특히 오류가 많이 나는 구간이 있음!! ◆ Redundancy 에러를 탐지하기 위해서 보내는 데이터에 추가적인 정보를 붙여서 보내는 것. - 블록 코딩 따위의 방식으로 구현!! ◆ Error detection vs Error correction : 에러 탐지 및 에러 수정 ㆍError detection 에러가 났는지 안났는지 탐지하는 것 ㆍError correction 어디가 잘못됐고 어떻게 바꿔야 하는지 에러를 수정하는 것 (당연히 error detection 보다 어려움!!) ◆ 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