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4)
센로그

◆ 프로젝트 개발 동기디자이너가 게임 제작에 필요한 3d mesh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게임 개발자들 또한 디자이너가 시간 내에 asset을 제작하지 못하거나, 팀에 디자이너가 없어 에셋 스토어에서 원하는 3d assets을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기도 합니다.따라서 text 만을 입력해 일정 수준 이상의 3d mesh를 생성해낼 수 있다면 게임 개발자 및 디자이너의 초기 작업에 도움이 될 것 같아 본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 프로젝트의 목적text based 3D model의 quality 향상을 위한 post processing ◆ 프로젝트 개요ㆍ 제목 : Post Processing for text based 3D modelㆍ 소개 영상 : https://www.y..

◆ 프로젝트 개발 동기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대한민국은 재난 및 사고 시 대응 매뉴얼을 구축하고 시민들의 사전 훈련과 숙지 상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이후 각 기관과 정부는 이에 대한 중요성을 실감하며 재난 및 사고 대응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많은 정책을 도입하고 실현하고 있습니다.'Safe VR Subway Simulation with Reinforcrment Learning' 은 VR 지하철 화재 대응 시뮬레이션 콘텐츠로, 시민들의 안전의식을 향상하고 지하철 화재 사고시 신속한 대응 체계 확립에 기여하기 위해 기획·개발되었습니다. 학교 및 기관에서 매년 건물 내 화재 대응 훈련이 실시되고 있으나, 지하철과 같은 특수한 공간에서의 재난 훈련은 실전처럼 진행하기엔 어렵습니다. ..

◆ 프로젝트 개발 동기대부분의 FPS 게임은 사실적인 그래픽과 자극적인 요소를 특징으로 합니다. 이는 게임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지만, 전투 정보나 혈흔 등의 실재감으로 인해 적대감 및 공격행위를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FPS 게임이 폭력성 정도에 따라 ‘15세 이용가’ 에서 ‘청소년 이용불가’ 등급의 판정을 받습니다. 따라서 저희는 기존의 사실적이고 자극적인 FPS 게임들과는 다르게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재밌고 색다른 FPS 게임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ICE DDAENG! 은 얼음땡 놀이와 눈싸움으로부터 컨셉을 착안한 게임입니다. 귀여운 동물 캐릭터들(플레이어)이 서로를 얼려 눈사람으로 만들고 부수며 신나게 전투합니다.게임 배경은 북극의 어느 하늘섬으로, 귀엽고 만화적..

◆ 요점 정리 1. 파일 시스템 마운팅 파일 시스템이 파티션에 디렉토리 형태로 접근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작업 유닉스의 경우 루트 폴더에 자동으로 파일시스템이 마운트 됨 2. VFS 파일 시스템이 다르더라도 유저 프로세스가 항상 동일한 형태의 시스템 콜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 Inode : 한 파일 시스템 내에서 파일을 식별하기 위함 vnode : 여러 파일 시스템들 중에서 파일을 식별하기 위함 3. VFS 구현 관리해야 할 Object files inode object, file object, superblock object, dentry object 등 정의해야 할 Operations open, close, read, write, mmap 등 4. Remote File Syste..

◆ QUIC 이란? TCP를 대체하는 범용 목적으로 개발된 4계층 통신 프로토콜로, UDP위에서 동작한다. 게임, 스트리밍 미디어, VoIP서비스에 자주 쓰이며, 지연시간이 적은 인터넷 전송 프로토콜임. HTTP/3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세 번째 메이저 버전으로, 기존의 HTTP/1, HTTP/2와는 다르게 UDP 기반의 프로토콜인 QUIC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프로토콜이다. "바로 옆에 있는 애한테 보내는건데, 설마 이게 TCP 혼잡 제어나 오류 제어 할만큼 그렇게나 오류가 많을까? 그건 아닌 것 같은데." 라는 컨셉에서 시작함. 그러다가 수많은 사람들이 개량해나가면서, 근거리 서버 to 서버 에서만이 아닌, 충분히 멀리 떨어진 경우에도 장점이 있도록 발전함. ..

◆ Peer-to-Peer vs Client-Server우리가 지금부터 볼 WebRTC는 웹 기반 실시간 P2P 통신 기법이다.WebRTC(Web Real-Time Communication)은 웹 애플리케이션과 사이트가 중간자 없이 브라우저 간에 오디오나 영상 미디어를 캡쳐하고 마음대로 스트리밍 할 뿐 아니라, 임의의 데이터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임들어가기 전에 P2P 방식과 클라-서버 방식이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보자. ■ P2PP2P 통신의 사전적 의미는, 클라이언트들이 별도의 서버 없이 서로 통신을 하는 것임.(사전적이라는 건, 요즘엔 아예 서버를 안쓰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 이따가 설명할 것임)만약 6개의 노드가 있는 경우, 한 컴퓨터당 5개의 연결을 유지해야 함.내 정보를 보내고 싶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