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67)
센로그
◆ 우선 알고 갈 것. Virtual Circuit Network는 X.25 ▷ Frame Relay ▷ ATM 순으로 진화했음! 얘네가 뭐하는 건지 어떻게 생겼는지 알아볼 것임 ◆ Frame Relay (FR) LAN 들을 연결하는 고속 통신기술. 🔑 : 데이터 링크 계층 기존의 X.25 프로토콜은 플로우, 에러 컨트롤을 데이터링크와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거의 다 지원하는 등 굉장히 꼼꼼한 프로토콜 이었다. => 속도가 느린 결함이 있었음!! (64kbps의 데이터율) 프레임 릴레이는 - 데이터링크 레이어에서만 작동함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작동하지는 않음.) - 에러 컨트롤은 안하고, detection만 함. (잘 받았겠지~ 하고 ACK 요구 안함. => 속도가 빠르고 효율적임) - 가상 회선을 지원해서..
◆ CELLULAR TELEPHONE 우리가 배운 기술들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정도만 파악하자! Cellular Telephone Network는 서비스영역을 Cell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눔 각 Cell은 안테나를 포함하는 BS (Base Station; 기지국)에 의해 제어됨 각 기지국은 MSC (Mobile Service Center; 이동교환센터)에 의해 제어됨 기존의 전화는 PSTN(전화망)에 유선으로 다 연결돼있음 그런데 이것은 우리가 지금 쓰고있는 (핸드폰)네트워크와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이다 => 연결시켜주는 곳이 MSC 여기서 핸폰-핸폰이면 다른 기지국 찾아가고, 유선망이다 그러면 PSTN으로… ■ 주파수 재사용 패턴 사용 가능한 주파수 집합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주파수는 재사용되어야 함! 그러..
◆ Connecting Devices 실제로 노드들과 네트워크들을 연결하는 장치들이 어떤 게 있는지 알아보자. ■ Passive Hub (1계층 장비) 그냥 커넥터. 연결시켜 주는 것. ■ Repeater (1계층 장비) 주로 디지털에서, 신호를 그대로 반복시켜 주는 놈. 다른 LAN 사이에 연결하는게 아니고 한 LAN 안에서 연결. Amplify하는 게 아니라, Regenerate 함. 즉, 같은 신호를 그대로 다시 재생시켜서 보내주는 거. 이런 느낌!! ■ Active Hub (1계층 장비) 허브는 여러 포트가 들어있는 리피터 1계층 장비임! 필터링 없이, 그냥 연결된 모든 포트로 보냄. (BroadCast) ■ Bridge (2계층 장비) LAN과 LAN을 연결. 또는 커다란 LAN을 분리시켜서 충..
◆ Wireless LANs 저번엔 유선랜(이더넷). 이번엔? 무선랜 (WiFi) 이번에 알아둬야 할 내용은 DCF PCF Hidden Station 문제의 정의와 해결법(RTS, CTS) 이정도라 보면 되겠음. ◆ IEEE 802.11 표준 Wireless LAN(무선 랜)에 대한 "약속"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에 대한) 이 약속(IEEE 802.11 standard)에 대한 두 가지 구조가 존재함. BSS (Basic Service Set ; 기본 서비스 세트) ESS (Extended Service Set ; 확장 서비스 세트) ◆ BSS (Basic Service Set) : 기본 서비스 세트 BSS는 기본적으로 지들끼리 통신하는 것임. AP (Access Point; 무선 공유기)를 사..
◆ 유선 LAN : 이더넷 프로토콜 TCP/IP 프로토콜은 데이터링크 계층, 물리 계층에 대해 어떠한 프로토콜도 제공 안 함. == 데이터링크, 물리 계층의 어떤 프로토콜과도 호환된다는 뜻!! 데이터링크 / 물리 계층은 LAN과 WAN을 사용함. 이더넷 LAN의 4가지 버전 ㆍStandard Ethernet (표준 이더넷; 10Mbps) ㆍFast Ethernet (고속 이더넷; 100Mbps) ㆍGigabit Ethernet (기가비트 이더넷; 1Gbps) ㆍ10 Gigabit Ethernet (10 기가비트 이더넷; 10Gbps) ◆ IEEE 802 표준 : 다양한 제조업자들의 장치들 사이의 상호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준 LAN 프로토콜의 물리 계층, 데이터 계층의 기능을 규격화함. => 데이터링크..
◆ Data Link - Sublayer 데이터 링크 계층의 두 부계층(sublayer) ㆍDLC(Data Link Control sublayer) 흐름 및 오류를 제어하는 부분 ㆍMAC(Media Access Control sublayer) : 실제 매체에 접근하는 부분 Chapter 10~11까지 DLC에 대해 언급했고, 이번에 공부할 것은 MAC 부분임. ◆ 다중 접근 프로토콜이란? 공유 링크를 사용하는 경우, 링크에 접근하는 것을 조율하기 위한 다중 접근 프로토콜(Multiple-access protocol)이 필요함. 여러 사람이 회선을 사용(Bus Topology 등)할 때 생기는 문제(방해, 충돌 등)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규정! 1. Random-access proto..